12일 오전 8시 26분 49초에 전북자치도 부안군 남남서쪽 4km 지역에서 4.8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번 지진의 진앙은 북위 35.70도ㆍ동경 126.71도로 행정구역은 지진 안전지대로 분류된 내륙인 부안군 행안면 진동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올해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기록됐다.
전북지역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을 느끼고 그릇이나 창문 등이 깨지기도 하며 불안정한 물체는 넘어질 수 있는 정도의 진도 5의 흔들림이 감지됐다.
이번 지진으로 오전 8시 40분 기준 보안면 상입석리 창고 벽체 일부가 갈라졌고 하서면 장신리 주택 유리창이 금이 가는 등 백산면 용계리 주택 화장실 타일이 부서졌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특히 전북지역인 부안ㆍ김제ㆍ군산ㆍ정읍ㆍ전주ㆍ임실 등에서 총 77건의 지진 유감신고가 전북자치도소방본부 119상황실에 접수됐다.
유감 신고를 전국적으로 살펴보면 충남 27건ㆍ충북 24건ㆍ경기 23건ㆍ대전 14건ㆍ광주 14건ㆍ전남 13건ㆍ세종 9건ㆍ창원 5건ㆍ서울 2건ㆍ부산 2건ㆍ경북 2건 등이다.
전북자치도와 부안군은 추가적인 여진 발생에 대비하는 동시에 도내 각 시・군에 상황관리 철저 및 옥외 전광판 등을 활용 지진 국민행동요령 홍보와 기상청과 긴밀한 협조를 통해 지진 발생 동향 모니터링 및 주요 시설물(청사ㆍ교량 등)과 옥외 대피장소 사전점검 등을 통해 추가 여진 발생에 대비하고 있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다른 재난과 달리 지진은 발생을 예측할 수도 없기에 행동 요령을 스스로 숙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추가 여진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군민들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비상 1단계를 가동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진원의 깊이는 8km로 추정됐다.
☞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이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 입니다. 구글 번역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and assumes that there ar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Magnitude 4.8 earthquake in Buan-gun 3 cases of damage, including partial cracking of warehouse walls, 198 reports of regret received
Reporter Lee Han-shin
At 8:26:49 a.m. on the 12th, a 4.8 magnitude earthquake occurred 4km south-southwest of Buan-gun, Jeollabuk-do.
The epicenter of this earthquake was confirmed to have occurred in Jindong-ri, Haengan-myeon, Buan-gun, an inland administrative district classified as an earthquake-safe zone, and was recorded as the largest earthquake that occurr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urrounding waters this year.
In the Jeonbuk region, shaking of magnitude 5 was detected, which is enough to cause vibrations to almost everyone, break dishes and windows, and cause unstable objects to fall.
As of 8:40 a.m., due to this earthquake, a report was received that part of the wall of a warehouse in Sangipseok-ri, Boan-myeon was cracked, a window in a house in Jangsin-ri, Haseo-myeon was cracked, and a bathroom tile in a house in Yonggye-ri, Baeksan-myeon was broken.
In particular, a total of 77 reports of earthquake regret were received in the Jeonbuk region, including Buan, Gimje, Gunsan, Jeongeup, Jeonju, and Imsil.
Looking at the regrettable reports nationwide, there are 27 cases in Chungnam, 24 cases in North Chungcheong, 23 cases in Gyeonggi, 14 cases in Daejeon, 14 cases in Gwangju, 13 cases in Jeonnam, 9 cases in Sejong, 5 cases in Changwon, 2 cases in Seoul, 2 cases in Busan, 2 cases in Gyeongbuk, etc. am.
Jeonbuk Self-Governing Province and Buan-gun are preparing for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aftershocks while thoroughly managing the situation in each city and county in the province and using outdoor electronic display boards to promote earthquake citizen behavior guidelines and closely cooperate with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o monitor earthquake occurrence trends and maintain major facilities (government buildings and bridges). We are preparing for additional aftershocks through preliminary inspections of outdoor evacuation sites, etc.).
Buan County Governor Kwon Ik-hyeon said, "Unlike other disasters,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cannot be predicted, so it is most important to familiarize oneself with action tips,"and urg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upcoming earthquake evacuation training."
Meanwhile, the depth of this earthquake was estimated at 8km. 원본 기사 보기:브레이크뉴스 새만금 <저작권자 ⓒ 인터넷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지진 관련기사목록
|
인기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