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림·여유 미학 흔들, 피플파워는 언제?

[동남아일기33-캄보디아] 프놈펜 ‘주거권운동본부’ 활동하며

윤경효 | 기사입력 2010/07/23 [00:06]

느림·여유 미학 흔들, 피플파워는 언제?

[동남아일기33-캄보디아] 프놈펜 ‘주거권운동본부’ 활동하며

윤경효 | 입력 : 2010/07/23 [00:06]
결국 내 안에 생긴 캄보디아인, 특히 남성에 대한 불편함을 떨쳐내지 못했다. 이런 얘기를 처음 듣는 것도 아닌데, 책 한권에 중심을 잃었다. 그들을 향한 화가 어느새 내 안에 자리 잡아 그들의 모든 행동이 뒤틀리게 보일 정도다.
 
모두가 관련된 것도 아닐 진 데, 뚝뚝이나 오토바이 기사의 친절이나 미소까지도 음흉하게 느껴지고, 경찰들이 탐욕스럽게 보인다. 어느새 내 걸음이 빨라지고, 얼굴이 굳어졌다. 8개월이 넘는 시간을 통해 간신히 느림과 여유의 미학이 내 안에 들어왔는데, 순식간에 예전의 모습으로 회귀하고 있다.
 
▲ 프놈펜에서 3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재정착촌. 1가구당 40㎡ 면적을 배정받았다. 바닥공사, 배선 및 상하수도관 설치 등은 각자가 알아서 해야 한다. 민영기업의 배선 및 상하수시설을 설치해야 하는데, 공공요금의 7~10배 가까이 된단다. 우리가 방문한 집은 돈이 없어 타일만 간신히 깔고 천으로 공간을 3등분해 부엌, 방, 거실로 활용하고 있었다. 전기는 옆집 것을 나누어 쓰고, 물은 차로 10분 거리에 있는 가게에서 사온다고.     © 윤경효

 
그동안 읽었던 이성적인 보고서와 통계자료의 무미건조함이 그녀의 이야기로 생생하게 느껴지다 보니, 감성이 자극된 것 같다. 그녀의 이야기에 화를 내는 것이 당연하지만, 이렇게까지 흔들릴 정도인 것을 보니, 아직 내 깜냥이 이를 감당해 낼 만큼은 아닌가 보다. 헐~
 
캄보디아 남성에 대한 불편함에 진저리
 
모든 현상에는 이유가 있다. 캄보디아인의 심리상태에 대한 한 보고서(Understanding Trauma in Cambodia, 2007, Matthias Witzel, http://mcnnews.wordpress.com/2007/12/18/understanding-trauma-in-cambodia)가 그 이유를 잘 설명해준다.
 
프랑스 식민지배, 베트남과의 전쟁, 특히 크메르 루즈 시절을 겪은 많은 캄보디아인이 현재까지도 좌절감, 불안감, 우울증, 조울증, 감정통제 상실, 반사회성, 낮은 자존감, 생명 및 인간존엄성에 대한 경시 등 심리적 트라우마를 겪고 있다고 한다. 심지어 해외로 이주해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살고 있는 캄보디아인들도 62%가 이런 트라우마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 지난 화요일 저녁 7시 한 카페에서 유엔 주거권(Housing Right) 관련 특별보고자(Special Rappoteur)와 캄보디아 내 관련 시민단체들 간 간담회 자리가 마련되었다. 격식 없이 진행됐는데, 주민들의 발언이 이어졌고, 나에게 안겨 울던 그 여인은 절박한 심정으로 울먹이며 도움을 요청했다. 주민들의 목소리는 그날 참석했던 어떤 활동가들의 목소리보다 내 심금을 울렸다.     © 윤경효

 
이것이 캄보디아의 아동성매매에 대한 모든 것을 설명해 줄 수는 없지만, 왜 사회적으로 아동학대에 대한 낮은 인식을 갖게 되었는지, 여성이나 약한 자에 대한 폭력이 만연해 졌는지 이해가 될 것 같다.(아마도 6.25전쟁 이후 우리 역시 같은 감정적 상태에 있었을 게다.)
 
아직도 이들의 트라우마는 진행형인 것 같다. 특히,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거권운동본부’(HRTF=Housing Right Task Force, 캄보디아 주민활동 단체)의 활동가 피름(Phearum)에 따르면, 프놈펜(Phnom Penh)의 대표적인 빈민가인 벙끅(Boeung Kok) 호수 주변뿐만 아니라 도시 전반에 걸쳐 폭력적인 강제철거가 진행 중이라고 한다.
 
아동성매매 근저에 쌓인 트라우마
 
문제는 사람들이 왜 갑자기 자기 집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야 하는 지 충분한 설명을 정부로부터 듣지 못한 채, 형편없는 보상비(한 가구 당 U$250~U$700)를 받고, 물도, 전기도, 학교도, 병원도, 교통편도 없는 재정착촌(프놈펜에서 보통15km~35km 떨어진 외곽에 위치)으로 이주를 강요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캄보디아 프놈펜에서의 한 달 생활비가 4인 가족 기준으로 최소 약 300달러가 필요하다 하니, 기껏해야 2달치 생활비를 받고, 일자리도 잃은 채 떠나야 하는 것이다. 반항의 대가는 정부의 엄청난 폭력과 심지어 죽음만이 있을 뿐이다. 부당한 일을 당해도, 정보가 없기 때문에, 그리고 힘 있는 자들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그저 속수무책으로 정부관리가 하라는 대로 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 빈민촌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피름. 많은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드러나는 것을 두려워해 협력활동을 꺼린다고. 때문에 주민조직을 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1년여 활동을 했는데, 지금은 도와주는 고마움을 느끼며, 많이들 자신감을 갖게됐다고 한다. 마을 곳곳에 들어가 일할 활동가가 필요한데, 주거권운동본부에는 2명만 있을 뿐이라고. 캄보디아에 많은 시민단체가 있지만 주로 지역개발 사업을 하고 조직활동은 하지 않는데, 주민조직활동이 정부에 의해 위협을 받기 때문이란다. 자신도 벌써 2~3차례 정부로부터 회유와 위협을 받았단다.     © 윤경효

 
지난 화요일, 주거권운동본부(HRTF)가 지원하고 있는 마을의 한 주민이 사무실로 찾아왔다. 월요일에 정부의 강제철거로 남편이 많이 다쳤는데, 병원에 입원해 경황이 없는 틈을 타, 정부 관리들이 700달러의 보상비에 합의한다는 남편의 지(指)장을 받아갔단다.
 
재정착촌을 배정받은 것도 아니고, 당장 거처할 곳도 없어, 마지막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단체 사무실로 찾아온 그녀를 보니, 황망한 모습이다. 불안하게 흔들리는 그녀의 눈을 보고, 꼬옥 껴안았는데, 기다렸다는 듯이 울음을 터트린다.
 
보상 거의 없는 강제이주에 속수무책
 
혼자서 여기 저기 뛰어다니며, 낮 모르는 사람들에게서 생전 처음 듣는 얘기들, 어려운 얘기들을 들으며, 아마도 많이 힘에 부쳤으리라. 오죽했으면, 딸 벌 되는 외국인을 부둥켜안고 울었을까. 그렇게 15분 정도 있었던 것 같다.
 
피름과 벙끅(Boeung Kok) 호수 인근의 빈민촌을 찾았는데, 그곳의 주민 왈, 우리는 여전히 폴 폿(Pol Pot, 크메르루즈의 리더)시대에 있다고. 정부의 폭력도, 가난도 모두 달라진 것이 없다며, 건조한 목소리로 읇조리 듯 말하는 그들을 보니, 그들에게 아픔의 역사는 과거가 아닌, 현재진행형이다.

▲ 주거권운동본부(HRTF) 활동가들은 집에 가서 밥을 먹기에, 나는 이웃에 있는 캄보디아 법률교육센터(CLEC: Cambodia Legal Education Center) 활동가들의 점심식사에 꼽사리 꼈다. 헐~(사진 왼쪽). 주거권운동본부의 활동가들(사진 오른쪽). 총 4명인데, 주민조직 담당 2명, 지도 설계 1명, 회계 1명으로 구성돼 있다. 지도 설계 담당자는 현재 미국연수 중. 가장 왼쪽이 사무국장 피름.     © 윤경효

 
오랜 시간동안 뼈 속 깊이 박힌 좌절감과 두려움이 어떻게 짧은 시간 내에 극복될 수 있을까. 여러 사람의 도움으로 지금 간신히 세상으로 얼굴을 내밀 자신감을 얻었는데, 일이 잘 안되어 이들이 다시 좌절하고 더 깊은 자기들만의 방으로 후퇴하게 될까봐 우려된다.
 
발등에 떨어진 문제에 맞서기에 앞서, 자신들의 감정과 싸워야 하는 이들이 안타까우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이겨내 크메르인들의 피플 파워를 보여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외국인 부둥켜안고 10여분이나 '울먹'
 
점심시간에 도시락을 싸와 이웃에 있는 시민단체 사람들과 함께 밥을 먹었는데, 모두들 영어실력이 상당하다. 캄보디아에서는 시민단체 월급이 회사보다, 심지어 외국계 회사보다 나아서 많은 능력 있는 사람들이 선호한다는데, 그 말이 맞나보다.(현재 활동 중인 캄보디아 시민단체만 약 2~3,000개 정도 된다고)
 
주로 고학력의 20~30대 층이 많은 편인데, 일반적인 사람들 보다 많은 정보를 접하고 외국인들과 일을 해서 그런지(캄보디아의 대부분의 단체는 국제NGO와 함께 일함), 생각하는 것이나 말하는 것이나 상당히 자신감에 차 있다. 크메르루즈 시대를 겪었던 세대와 세대차이가 날 듯도 하다.

▲ 벙끅 호수주변의 빈민촌 모습(사진 왼쪽)과 석양 녘 벙끅호수(가운데-사진: Jodi Hilton). 고층 건물들이 들어선 프놈펜 시내전경(오른쪽).     © 윤경효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지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부와 빈곤의 양 극단이 공존하고 있는 것이 보인다. 누구는 온갖 정보를 향유하지만, 누구는 학교에 가지도 못하고 있다. 누구는 높은 도덕성을 이야기하지만, 누구는 거리낌 없이 아이를 팔고 있다. 누구는 자신감에 넘쳐 눈이 반짝이지만, 누구는 초점 없는 눈으로 하루하루를 견뎌내고 있다.
 
인간 사회 어느 곳이나 양극이 존재할진데, 유난히도 캄보디아는 나에게 앙코르왓과 소말리 맘의 이야기가 주었던 그 극단의 이미지처럼 그것들이 너무 강렬한 느낌으로 남아 있다.
 
 

대초원에서 유라시아 환경보고서를 띄우던 경효. 인도네시아에서 시작해 말레이시아, 태국, 버마, 캄보디아로 1년여 장도의 동남아시아 자원봉사활동을 하며 기행문을 써온 제가 이번엔 영국 쉐필드에 왔습니다. 쉐필드대학 석사과정에서 공부하려고요. 이젠 유학일기로 관심을 좀 끌어볼게요. ^^*
  • 도배방지 이미지

캄보디아, 프놈펜, 아동성매매, 주거권운동연합, 크메르루즈 관련기사목록
윤경효의 영국 유학일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