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한반도습지 보호뒤 멸종위기종 3배 증가

지보호지역 지정 전 387종에서 871종으로 생물다양성 증가 뚜렷

세이프코리아뉴스 | 기사입력 2015/11/10 [11:19]

영월 한반도습지 보호뒤 멸종위기종 3배 증가

지보호지역 지정 전 387종에서 871종으로 생물다양성 증가 뚜렷

세이프코리아뉴스 | 입력 : 2015/11/10 [11:19]
강원도 영월군의 한반도 습지가 2012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수달, 담비, 층층둥글레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12종이나 발견돼 지정 전인 2009년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이 2014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반도 습지를 대상으로 ‘습지보호지역 정밀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곳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12종(I급 1종, II급 11종)을 포함해 육상과 수생태계에 걸쳐 다양한 희귀 동·식물 총 871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발견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은 수달이며 Ⅱ급은 백부자, 층층둥글레, 남생이, 구렁이, 묵납자루, 가는돌고기, 돌상어, 흰목물떼새, 삵, 담비, 무산쇠족제비 등이다.

군별로 분류를 하면 식물 418종, 육상곤충 288종, 조류 59종, 저서성무척추동물 52종, 어류 28종, 양서·파충류 16종, 포유류 10종으로 나타났다.

특히, 습지보호지역 지정 전인 2009년에 이 곳의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I급 수달, II급 묵납자루, 돌상어, 붉은배새매 등 4종에 불과했다.

2009년 당시 야생생물은 387종이 조사됐으며, 분류군별로 식물 228종, 육상곤충 69종, 조류 26종, 저서성무척추동물 24종, 어류 24종, 양서·파충류 7종, 포유류 9종이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한반도 습지의 생물다양성의 증가세가 뚜렷한 이유에 대해 습지보호지역 지정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면 ‘습지보전법’에 따라 출입과 채취 등의 행위가 제한돼 야생생물의 안정적인 서식처가 조성될 수 있다.

김태성 국립습지센터 연구관은 “습지보호지역 지정으로 사람의 출입과 채취 등의 행위가 제한되고 체계적인 보호지역 관리가 이루어진 결과 생물다양성이 2배 이상 증가했다”고 말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습지보호지역 정밀조사’는 습지보호지역을 5년 주기로 지형, 수리·수문, 식생, 동·식물상 등 총 12개 분야로 나눠 실시하고 있다.

※ 12개 조사분야 : 지형·지질·퇴적물, 수리·수문, 식생, 식물상, 조류, 포유류, 육상곤충, 어류, 양서·파충류, 저서성무척추동물,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한반도 습지 일반현황

1. 명칭 : 영월 한반도습지 습지지역

2. 위치 :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옹정리, 신천리, 후탄리) 일원

3. 면적 : 2,772,482㎡

4. 습지보호지역 지정년월일 : 2012년 1월 13일

5. 습지보호지역 지정사유 및 목적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식물이 다수 분포하는 등 생물다양성이 우수하고, 뛰어난 자연‧경관적 요소를 보유하고 있는 하천습지인 “영월 한반도습지”의 지속가능한 보전 추진

                                <한반도습지의 위치 및 습지보호지역 지적 현황>


한반도 습지의 생물상 및 멸종위기야생·식물상

구  분

생물상

멸종위기종

2009년

2014년

2009년

2014년

Ⅰ급

Ⅱ급

Ⅰ급

Ⅱ급

총  계

387

871

1

3

1

11

식물

228

418

 

 

 

2

육상곤충

69

288

 

 

 

 

양서·파충류

7

16

 

 

 

2

조류

26

59

 

 

 

1

포유류

9

10

1

2

1

3

저서무척추동물

24

52

 

 

 

 

어류

24

28

 

1

 

3

*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Ⅰ급 : 수달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 : 백부자, 층층둥글레, 남생이, 구렁이, 묵납자루, 가는돌고기, 돌상어, 흰목물떼새, 삵, 담비, 무산쇠족제비
 

한반도 습지 전경 및 생물종 관련 사진
<!--[if !vml]-->
<!--[if !vml]-->

               한반도습지 전경(3월)

              한반도습지 전경(9월)
<!--[if !vml]-->
<!--[if !vml]-->

                 자연교 지형과 하식동

         백부자(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if !vml]-->
<!--[if !vml]-->

       층층둥굴레(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남생이(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구렁이(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묵납자루(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if !vml]-->

      가는돌고기(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흰목물떼새(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전문 용어 설명

○ 멸종위기 야생생물

-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현격히 감소하거나 소수만 남아 있어 가까운 장래에 절멸될 위기에 처해 있는 야생생물

※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멸종위기종을 법으로 지정하여 보호 · 관리하는 법정보호종으로, 현재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과 II급으로 나누어 지정관리

    
- 백부자(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A2cd 종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초로 우리나라 중부이북 밝은 숲 또는 숲 가장자리, 풀밭에 자생, 특히 강원도와 충북의 석회암지대에서 관찰됨

    
- 층층둥굴레(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준위협(NT)종

․북방계 식물로서 경기도와 강원도 이북에 분포하며, 주로 강변 모래땅에 드물게 무리를 이루어 자라는 다년초

․3~5개의 잎이 줄기에 층을 이뤄 돌려나기는 것이 특징적이며, 강가 모래땅에 서식하기 때문에 자연적, 인위적 교란으로 부터 서식처가 위협받기 쉬움

    
-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준위협(NT)종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체고가 높으며, 주둥이는 둥글고, 입가에는 1쌍의 수염이 있음. 등지느러미에는 가운데에서 가장자리에 이르는 너비가 넓은 노란색의 띠무늬가 뚜렷하며, 그 끝 가장자리는 검은색이 특징

․물이 맑은 하천 상류의 바닥에 물풀이 무성하게 자란 곳에 서식하며 알을 낳을 때가 된 암컷은 긴 산란관을 내어 조개 안에 알을 낳음 

    
-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a)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준위협(NT)종

․몸통과 머리는 옆으로 납작하며, 눈 위 가장자리에 깃털 모양의 피판이 있고, 옆줄이 특징

․물이 맑고 깨끗한 하천 상류의 자갈이 깔린 물의 속도가 빠른 여울바닥에 서식


- 카르스트지형(Karst topography)

․석회암 지역에서 잘 나타나는 것으로, 화학적으로 용해하여 침식되어 나타나는 지형. 석회암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빗물과 지하수에 쉽게 용해되면서 나타나며 지하에 하천이 흐르는 점이 가장 큰 특징


- 돌리네(Doline)

․석회암 지대에서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물에 녹으면서 깔때기 모양으로 패인 웅덩이를 형성하는데, 일정 크기이상의 것을 돌리네라 명명


- 카렌(Karren)

․석회암 지대에 발달된 용식지형의 일종으로 석회암이 지표에 노출되어 있는 경사지에서는 빗물이 흘러내리면서 조직이 약한 부분을 따라 깊이 수센티 또는 수미터의 작은 용식구(溶蝕溝)를 만드는데 이들 용식구 사이에 뾰족한 암주나 능(稜) 모양으로 남아 있는 돌출부를 의미

    
- 하식애(River cliff)

․하천의 침식작용 등으로 인해 생긴 하천 절벽으로 하천이나 강의 감입곡류 구간의 사면을 이루는 절벽

원본 기사 보기:safekoreanews
  • 도배방지 이미지

영월 한반도습지 보호지구 지정 멸종위기종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