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닛케이 “韓지진, 안전불감증 드러낸 또다른 사례”

뉴스프로 | 기사입력 2016/09/25 [11:47]

日닛케이 “韓지진, 안전불감증 드러낸 또다른 사례”

뉴스프로 | 입력 : 2016/09/25 [11:47]
경주 지진으로 일본의 지진 대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일본 닛케이신문은 22일 영문판을 통해 한국의 건축물 가운데 내진이 확보된 게 7%에 불과하며 정부의 지진 대응 또한 불신을 사고 있다고 적었다.
 
닛케이는 이뿐만 아니라 세월호, 메르스 등 한국에서 재난이 연이어 발생하는 이유로 안전의식 부족을 지목했다.
 
닛케이 보도는 한국을 다소 비하하는 것으로 읽히기 쉽다. 그러나 재난방재 시스템에 관한 한 일본이 한국 보다 우위에 있는 바, 다소 불편해도 닛케이의 지적은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뉴스프로는 닛케이 기사 전문을 번역해 소개한다.
 
번역 감수 : Elizabeth
 
기사 바로가기 ☞ http://s.nikkei.com/2cpZcU7
 
 
▲ 한국 정부의 지진 대응의 문제점을 지적한 일본 니케이 보도     ©
 
 
South Korean quakes expose holes in disaster preparedness
한국 지진, 재난 대응 허점 드러내
 
An officer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explains an earthquake at the at the National Earthquake and Volcano Center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Seoul, on Sept. 12. ⓒ Sun Dong-jin/Yonhap via AP
 
한국 기상청 직원이 9월 12일 서울의 한국 기상청 산하 국가지진화산센터에서 지진을 설명하고 있다.
 
Preparing for earthquakes has emerged as an urgent task in South Korea as shockingly low levels of compliance with construction guidelines for quake resistance were laid bare in the wake of the recent temblor.
 
최근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내진 설계 건축기준 준수율이 충격적으로 낮은 것으로 밝혀지면서 한국에서 지진 대비가 급박한 사안으로 떠올랐다.
 
The earthquake proved South Korea is not safe from such disasters and that the government must make every effort to respond, President Park Geun-hye said Tuesday while inspecting damage in the southern city of Gyeongju.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화요일 한국 남부 경주에서 지진 피해를 확인하며 이번 지진으로 한국이 이러한 재난의 안전지대가 아님이 증명됐으며 정부가 대처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Several temblors, including one with a record magnitude of 5.8, struck the country Sept. 12. Aftershocks are still being felt. LG Display and other companies have suspended production lines, and four reactors at the Wolsong nuclear power plant were manually halted.
 
9월 12일 한국에서 관측사상 최대 규모인 진도 5.8을 비롯해 수 차례의 지진이 발생했다. 여진은 여전히 관측되고 있다. LG 디스플레이와 다른 회사들은 생산라인 가동을 중지했으며 월성 핵발전소의 4개의 원자로는 수동으로 정지되었다.
 
Damage was limited, with no deaths and only about 20 injuries. But the quakes dominated the headlines in South Korea, which rarely experiences seismic activity.
 
사망자 없이 20명 가량의 부상자만 발생하는 등 피해는 크지 않았다. 하지만 지진을 거의 경험한 적 없었던 한국에서 이번 지진은 뉴스의 헤드라인을 차지했다.
 
▲ A display window in Gyeongju, South Korea, was shattered by the quakes. ⓒ Yonhap/Kyodo경주의 한 전시 유리가 지진으로 인해 깨져있다.     ©
  
Alarmed lawmakers began reviewing government documents and other sources the following day to determine how much of the nation’s construction was quake-resistant. The findings, more of which were announced each day, raised serious concerns. Just 7% of private-sector buildings were designed to withstand temblors, including only 33% of those explicitly required to be quake-resistant. Just over half of highways and at most 30% of schools were found to be quake-resistant.
 
지진에 놀란 국회의원들은 다음 날 한국 건물들이 지진에 얼마나 버틸 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정부 문서들과 관련 자료들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그들이 밝혀낸 새로운 정보들이 매일 공개되면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됐다. 내진설계 대상으로 명시된 건축물 중 내진율은 33%에 불과하며 전국 건축물 중 내진확보된 건축물은 7%뿐이었다. 고속도로는 절반이 조금 넘게, 학교는 30%만이 내진확보가 돼있었다.
 
Government response to the quakes came under fire as well. A website providing safety guidelines and information on the temblors went down for about three hours Sept. 12. Despite measures such as increasing server space, the site crashed again for several hours Sept. 19 when another magnitude 4.5 quake occurred.
 
지진에 대한 정부의 대응 또한 맹비난을 받았다. 지진에 대한 안전지침과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9월 12일 약 3시간 동안 다운됐다. 서버 용량 확대 등의 조치에도 해당 사이트는 9월 19일 또 다른 진도 4.5 지진이 발생했을 때도 몇 시간 동안 먹통 상태였다.
  
Even Japan, which is used to and prepared for temblors, lost many lives during the Kobe earthquake in 1995 and the Tohoku earthquake and tsunami in 2011. Some South Koreans at the time questioned why many Japanese continued to live in wooden houses less resistant to tremors.
 
지진에 익숙하고 준비가 돼있는 일본조차도 1995년 고베 지진과 2011년 동일본 지진 및 쓰나미로 많은 인명을 잃었다. 그 당시 한국인들 중에는 왜 아직도 많은 일본인들이 지진에 취약한 목재주택에서 사는지 의문을 던졌다.
 
But South Koreans now are showing more interest in Japan’s disaster preparation measures. Leading newspaper Chosun Ilbo reported on the swift response by Japan’s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the Kumamoto earthquakes earlier this year.
 
그러나 한국인들은 지금 일본의 재난대비 방법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유력신문인 조선일보는 올 초 구마모토 지진에 대한 일본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신속한 대응을 보도했다.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in 2014 shed light on shortcomings both in South Korea’s public and private sector, such as lax cargo checks, inadequate training of staff and poorly managed rescue operations. When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broke out in 2015, one of South Korea’s leading hospitals was found unable to contain the disease. The recent temblors have uncovered yet another instance of a lack of safety awareness, which South Korean society has pledged to overcome.
 
2014년 세월호 침몰은 해이한 화물검수, 적절한 직원대상 훈련 부재 및 허술하게 진행된 구조작업들과 같은 한국의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의 결점들을 분명히 드러냈다. 2015년 메르스가 발생했을 때에도, 한국을 대표하는 병원이 이 질병을 억제할 수 없음을 드러냈다. 최근 지진들도 한국 사회가 반드시 극복해야 할 안전의식 부족의 또 다른 예를 여실히 드러냈다.

원본 기사 보기:자주시보
  • 도배방지 이미지

외신 일본 닛케이 한국 지진불감증 보도 관련기사목록